본문 바로가기
공인중개사_입문

부동산 취득세, 보유세, 양도세 한눈에 보기

by 포플러스 2025. 3. 23.
반응형

부동산 취득세, 보유세, 양도세 한눈에 보기 관련사진
부동산 취득세, 보유세, 양도세 한눈에 보기 관련사진

부동산을 매매하거나 보유할 때 취득세, 보유세(재산세·종합부동산세), 양도소득세 등 다양한 세금이 부과됩니다. 특히 정부의 부동산 정책 변화에 따라 세율이 자주 바뀌기 때문에, 투자자와 실거주자 모두 세금 구조를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동산 관련 세금의 종류와 특징, 절세 전략, 그리고 2024년 세제 개편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부동산 취득세 – 부동산 매입 시 부담해야 하는 세금

취득세는 부동산을 매입할 때 1회 부과되는 지방세로, 주택뿐만 아니라 상가, 토지 등 모든 부동산 취득 시 적용됩니다. 주택 가격, 보유 주택 수, 거래 유형(신축·분양·증여 등)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취득세율 (2024년 기준)

보유 주택 수 6억 원 이하 6억~9억 원 9억 원 초과
1주택자 1.1% 1.3% 3.5%
2주택자 8% 8% 8%
3주택 이상 12% 12% 12%
법인·외국인 12% 12% 12%

✅ 취득세 절세 방법

  •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 혜택 활용: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취득세 50~100% 감면.
  • 배우자·직계존비속 증여보다는 공동명의 활용: 증여 시 취득세 부담이 커질 수 있음.
  • 취득세 중과세 회피 전략: 다주택자는 1 주택을 매도 후 추가 매입하면 1 주택자 세율(1.1~3.5%) 적용 가능.

2. 보유세 – 부동산을 소유하는 동안 부담하는 세금

보유세는 부동산을 보유하는 동안 매년 납부해야 하는 세금으로,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종부세)로 구성됩니다.

✅ 재산세

  • 공시가격 9억 원 이하 주택: 0.1~0.4%.
  • 공시가격 9억 원 초과 주택: 0.4~0.7%.
  • 1세대 1주택자는 일부 감면 가능.

✅ 종합부동산세(종부세)

  • 1 주택자: 공시가격 11억 원 초과 시 부과.
  • 다주택자: 주택 합산 공시가격 6억 원 초과 시 부과.

✅ 보유세 절세 방법

  • 1세대 1 주택 비과세 혜택 활용: 일정 요건 충족 시 재산세 감면 및 종부세 부담 감소.
  • 부부 공동명의 활용: 종부세는 인별 과세이므로 공동명의로 보유하면 과세표준 분산 효과 발생.
  • 임대사업자 등록 활용: 일정 요건 충족 시 종부세 합산 배제 혜택 적용.

3. 양도소득세 – 부동산 매도 시 발생하는 세금

양도소득세는 부동산을 매도하여 차익이 발생할 경우 부과되는 세금으로, 보유 기간과 주택 수에 따라 세율이 달라집니다.

✅ 양도소득세율 (2024년 기준)

보유 기간 1주택 (9억 초과) 2주택 이상 법인
1년 미만 45% 70% 70%
1~2년 35% 60% 70%
2년 이상 6~45% 6~45% 70%

✅ 양도소득세 절세 방법

  •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 충족: 2년 이상 거주 및 보유 시 9억 원까지 양도세 면제.
  • 장기보유특별공제 활용: 보유 기간이 길수록 공제율 증가(10년 이상 보유 시 최대 80% 공제).
  • 증여 활용: 시세 차익이 클 경우 배우자·자녀에게 증여 후 양도하면 절세 가능.

결론: 부동산 세금, 미리 계산하고 대비하자

  • 취득세는 매입 시 1회 납부, 보유세는 매년 부담, 양도소득세는 매도 시 발생.
  • 1 주택자는 다양한 세금 감면 혜택이 있으므로 사전에 요건을 확인해야 함.
  • 다주택자는 공동명의, 임대사업자 등록, 증여 등을 활용하여 절세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

📌 부동산 투자 또는 주택 매매를 고려하고 있다면, 반드시 세금 계산을 미리 해보고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반응형